Linux에 스팀을 설치하는 방법은 사실 찾기 쉽다. 공식 문서에도 친철히 설명하고 있으며, 단 3줄의 코드로 끝이 난다.
하지만, 설치 이후 실행을 하려 해도 계속 오류가 뜨는 문제가 있다.
이 글에서는, 간단한 실행 방법과 오류 해결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1. Steam 설치
https://docs.fedoraproject.org/en-US/gaming/proton/?utm_source=chatgpt.com
설치법은 공식 문서인 위에 잘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도 한 번 다뤄보면,
sudo dnf install https://mirrors.rpmfusion.org/free/fedora/rpmfusion-free-release-$(rpm -E %fedora).noarch.rpm https://mirrors.rpmfusion.org/nonfree/fedora/rpmfusion-nonfree-release-$(rpm -E %fedora).noarch.rpm -y
sudo dnf config-manager setopt fedora-cisco-openh264.enabled=1
sudo dnf install steam -y
이렇게 세 줄의 코드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2. 실행 오류
설치는 쉽지만, 실행은 쉽지 않다.
설치된 Steam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문제 보고”에서 계속 위와 같이 steamwebhelper가 중지되었다고 나오며 스팀이 실행되지 않는다. 삭제하고 재설치해도 마찬가지.
3. 해결 방법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터미널에
steam -vgui
위 코드를 입력하면 오류 없이 Steam을 실행할 수 있다.
이후 실행된 Steam 화면에서
Settings-Interface-Enable GPU accelerated rendering in web views를 해제해주고 컴퓨터를 재시작해주면 이후부턴 Steam 접속에 오류가 생기지 않는다.
마치며
Steam을 통해 리눅스에선 모든 게임을 한 곳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 글에서는 Steam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게임, 예를 들어 Starcraft2와 같은 게임들을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